본문 바로가기

일상

미드저니(midjourney)를 사용해서 소설 캐릭터 그리기

반응형

 

 

예전에 wombo.art를 사용해서 이방인에서의 지호 일러를 해본 적이 있었습니다. 

 

 

https://adana.tistory.com/entry/%EC%86%8C%EC%84%A4-%EC%9E%A5%EB%A9%B4%EC%9D%84-%EA%B7%B8%EB%A6%AC%EB%8A%94-%EB%94%A5%EB%9F%AC%EB%8B%9Dwomboart%EC%9D%84-%EC%82%AC%EC%9A%A9%ED%95%B4%EB%B3%B4%EC%95%98%EB%8B%A4

 

소설 장면을 그리는 딥러닝(wombo.art)을 사용해보았다

최근 키워드를 주면 인공지능(딥러닝)으로 그림을 그려주는 서비스들이 궁금해서 사용해보았습니다. https://www.wombo.art/create Dream by WOMBO www.wombo.art 아래와 같이 prompt에 키워드를 집어넣고 화풍을

adana.tistory.com

 

 

결과는 재밌긴 했지만 제가 원하던 이미지는 아니였습니다.

 

 

 

 

미드저니 소개 

 

 

이번에는 미드저니(midjourney)를 사용해서 비슷한 작업을 해보려고 합니다. 

미드저니가 무엇이냐면 텍스트를 입력하면 딥러닝을 사용해서 

그림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2022년에 미드저니로 생성된 아래 이미지가 

미국에서 콜로라도 주립박람회 미술대회 디지털 아트 부문 1등을 해서 유명해졌습니다. 

 

스페이스 오페라 by 미드저니

 

 

미드저니로 생성한 이미지들 예시는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midjourney.com/showcase/recent/

 

 

 

미드저니 사용법 

 

우선 미드저니 사이트로 갑니다. 

 

https://www.midjourney.com/home/

 

Midjourney

An independent research lab exploring new mediums of thought and expanding the imaginative powers of the human species.

www.midjourney.com

 

미드저니 디스코드 서버에서 작업이 가능합니다.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은 #newbies-로 시작하는 방에 들어가서 작업하면 됩니다. 

다른 사람의 작업 내용을 볼 수 있어서 다른 사람들의 prompt와 결과물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 

 

작업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창이 금방 휙휙 올라갑니다.

로고 만드는 사람, 책 일러 만드는 사람, 야짤(?) 만드는 사람 까지 

다양한 작업들이 동시에 이뤄지고 있어서 신기하긴 합니다. 

 

대화창에 /imagine 치면 prompt 입력창이 나옵니다.

 

 

이방인에서 아래 지호의 묘사를 가져다 prompt를 만들 것입니다. 

 

 

 

 

 

The boy, unruly black hair. A delicately lined nose and moderately thick but rough lips. A sharp, watchful eye. anime style

 

위와 같이 prompt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네 가지 버전의 초안이 나옵니다.

 

 

 

U로 시작되는 버튼은 이 이미지를 더 자세하게 스케일을 키워서 보겠다(upscale)는 의미이고 

V로 시작되는 버튼은 선택한 이미지를 좀 더 다양한 버전으로 보겠다는 의미입니다. 

화살표버튼을 선택해서 아예 다른 버전으로 다시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이미지의 순서는 아래를 참조하세요. 

 

 

 

 

그냥 초안인데도 꽤 그럴싸하게 나옵니다.

첫번째 사진과 두번째 사진의 다양한 버전을 보고 싶어서 V1과 V2를 선택했습니다. 

 

 

마음에 드는 세번째 사진을 받기 위해서 U3를 누르고 나온 사진을 저장합니다. 

 

 

 

같은 방식으로 다른 버전의 이미지도 저장이 가능합니다. 

 

확실히 웜보보다는 제가 생각했던 이미지로 나오는 것 같긴 합니다. 

 

처음에 디스코드가 익숙하지 않아서 결과 오는거 채팅방에서 힘들게 찾고 했는데 

받은 편지함 클릭하니 그냥 다 여기서 볼 수 있더라고요.

 

 

 

 

 

 

prompt 작성법에 좀 더 익숙해지면 더 제대로 사용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나중에 prompt 사용법 포스팅도 가져올께요. 

 

 

 

 

 

참고
https://docs.midjourney.com/docs/quick-start

https://flatsun.tistory.com/3530

반응형